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보

설날 세뱃돈 얼마를 줘야 하나?

728x90

민족의 대명절 설날.

일가친척들을 모두 만나는 설날은

그 자체로 즐겁고 설레지만 설날에는 특히나 아이들이 

엄청나게 좋아하는 날중 하나라고 해도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일년에 한번 세뱃돈이라는 명목하에 돈을 벌수 있기 때문입니다.

어느새 아이들에게 설날은 세뱃돈 받는 날,

혹은 세뱃돈 그 자체가 되어버린 것은 아닌가 생각됩니다.

물론 우리가 어릴 적에도 비슷했지만 적어도 세배와

세뱃돈의 의미 정도는 알고 있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세배와 세뱃돈의 의미와

그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세배는 새해를 맞아 정초에 웃어른께 드리는 

의례적인 문안인사이자 새해를 맞아 심신을 바로하고 

새출발을 다짐한다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따라서 말끔히 몸을 씻고

 새옷으로 갈아입고 나서 경건한 마음으로 세배를 올리는 것입니다.

세배에는 이 두 가지 의미가 공존하기 때문에 아랫사람은 

웃어른께 존경을 담아 "건강하세요."등의 

축원을 올리고 웃어른은 아랫사람에게 새출발과 

다짐을 격려하는 덕담을 화답하는 것입니다.

세뱃돈을 받는 풍습은 중국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결혼하지 않은 자녀에게 붉은색 봉투에 약간의 돈을 넣어 

돈을 많이 벌라는 의미로 주었는데 이것이 우리나라에서도 

복을 주는 의미로 조금 변형되어 사용되었다는 것입니다.

아직 어린 아이들의 경우 세뱃돈에만 관심이 쏠린 나머지 정작 세배는 

하는 둥 마는 둥 대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때 어른들이 아이들을 혼내곤 하는데요. 아이들을 꾸짖기보다는 

먼저 정확한 세배법을 가르쳐주었나를 생각해보고 직접 몸소 

보여줌으로서 이해시키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남자가 세배하는 방법
1. 왼손이 위로가게 해 맞잡고 엎드리며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
2.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3. 왼발을 아래로 해 발등을 포개고 엉덩이가 발뒤꿈치에 닿을만큼 깊이 내려앉는다.
4. 팔꿈치를 바닥에 붙이며 이마가 손등에 닿도록 머리를 숙인 뒤 잠시 머무른다.
5. 고개를 들고 팔꿈치를 바닥에서 떼고 오른 무릎을 먼저 세운다.
6. 오른 무릎 위를 짚으며 일어나 두발을 모으고 바른 자세로 섰다가 다시 앉는다.
 


여자가 세배하는 방법
1. 오른손이 위로가게 해 맞잡고 어깨 높이에서 수평이 되게 올린다.
2. 고개를 숙여 이마를 손등에 댄다.
3. 왼 무릎을 먼저 꿇고 오른 무릎을 가지런히 꿇는다.
4. 무릎을 세우지 않고 왼발 등을 위로해 포개고 뒤꿈치를 벌리며 깊이 앉는다.
5. 상체를 60도쯤 굽힌 후 잠시 후 일으킨다.
6. 두발을 모으고 수평으로 올렸던 손을 내리며 바른 자세로 섰다가 다시 앉는다.

 

 

 

 

728x90